
사회
원주시 민물가마우지 포획지역 지정 추진···섬강 등 어족 자원 위협... 주민 의견을 수렴한 후 ‘민물가마우지 포획지역’을 지정해 공고할 예정이다. 또 7월 중 민물가마우지 피해지역에 유해 야생동물 피해방지단을 배치해 포획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3월 야생생물 보호 및...
#민물가마우지 #원주시 #섬강 #가마우지 #포획 #유해야생동물
최승현 기자 2024.06.13 10:09
사회
원주시 민물가마우지 포획지역 지정 추진···섬강 등 어족 자원 위협... 주민 의견을 수렴한 후 ‘민물가마우지 포획지역’을 지정해 공고할 예정이다. 또 7월 중 민물가마우지 피해지역에 유해 야생동물 피해방지단을 배치해 포획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3월 야생생물 보호 및...
#민물가마우지 #원주시 #섬강 #가마우지 #포획 #유해야생동물
최승현 기자 2024.06.13 10:09
과학·환경
‘민물가마우지 쫓아라’ 눈에 불 켠 지자체들... 했다. 연해주와 사할린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철마다 한국과 일본 등으로 내려오던 철새인 민물가마우지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000년대 이후 텃새화되기 시작했다. 2010년대 중반까지 1만마리...
#가마우지 #환경부 #강원도 #충북 #양구 #춘천
최승현·이삭 기자 2024.02.27 21:15
사회 현장에서
[현장에서] 유해야생동물 ‘민물가마우지’ 해법, 지자체마다 제각각... 마리 정도였으나 2020년 이후 3만여 마리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개체수가 많이 늘어난 민물가마우지가 북한강과 남한강 유역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호수 주변에 터를 잡고 내수면어업계와 양식장...
#가마우지 #환경부 #강원도 #충북 #양구 #춘천
최승현 기자, 이삭 기자 2024.02.27 15:45
과학·환경
민물가마우지가 ‘유해야생동물’이라는데···증거는 있습니까?... 양식장, 낚시터 등 58개 수역의 피해를 보고했다. 다만, 피해가 정량적으로 측정되지는 않았다. 민물가마우지의 개체 수가 줄어든다고 해서, 민물고기 수가 늘어날지도 미지수다. 환경부도 지난해 냈던...
#민물가마우지 #환경부 #양식장
강한들 기자 2023.07.31 16:56
과학·환경
[포토뉴스] ‘텃새’ 된 민물가마우지, 한강서 먹이 활동... 인한 나무 고사 등의 피해가 늘고 있는 가운데 11일 서울 동호대교 인근 한강에 떼를 지은 민물가마우지들이 먹이 활동을 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민물가마우지는 2017년 1만6021마리에서 지난해...
조태형 기자 2023.06.11 21:34
사회 현장 화보
[현장 화보] 한강까지 몰려온 민물가마우지…유해야생동물 될까... 있다. 전국 지자체들이 기후 위기로 겨울 철새에서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를 놓고 고민 중이다. 민물가마우지는 민물고기를 잡아먹으며 개체 수를 늘리고 있다. 충북도는 “민물가마우지가 현재 충북 전역에...
조태형 기자 2023.06.11 14:06
사회
‘낚시왕·물속의 포식자’ 민물가마우지에 전국 지자체 골머리...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 달라고 건의했다고 5일 밝혔다. 충북에는 3000여마리 이상의 민물가마우지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들어 동해안 대표적 석호인 강원 강릉시 경포호에...
#가마우지 #민물 #어업 #물고기 #충북
이삭 기자 2023.06.06 06:00
과학·환경
환경부, ‘비살생적 방법’으로 민물가마우지 줄인다..., 4월 말~7월 초 사이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둥지 제거 등 ‘비살생적’ 방법으로 개체수 조절 민물가마우지의 집단 번식으로 인한 어족 자원 손실, 배설물로 인한 수목 백화현상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김한솔 기자 2022.07.12 12:15
과학·환경
대도시 대전 갑천에 민물가마우지 급증···도대체 왜?... 관찰된 것이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10여년 전에 아주 소수가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던 민물가마우지가 크게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정 동물 종의 급격한 증가는 특정지역의 서식환경이...
#대전 갑천 #황조롱이 #매 #큰고니 #희귀조류 #대전환경운동연합 #민물가마우지
윤희일 선임기자 2022.03.04 08:45
과학·환경
16년 새 34배로… 민물가마우지 왜 늘었나.... 민물가마우지들이 강원 춘천 의암호변 나무 위에 둥지를 틀고 있다. |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민물가마우지 개체 수가 가장 빠르게 늘어난 한강에서는 올해 3101마리가 확인됐다. 한강의 민물가마우지는...
#민물가마우지
김기범 기자 2015.06.25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