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사 확진에 부산시교육청 해당 고교 폐쇄···접촉 교직원 69명 자가격리... 한 고등학교 교사가 코로나19 확진자로 확인돼 해당 학교가 폐쇄조치됐다. 부산시교육청은 26일 해당학교를 폐쇄하고 소독을 실시하는 한편 이 교사와 접촉한 교직원들을 자율 격리했다. 이 교사는...
#코로나19
엔데믹 시작
권기정 기자 2020.02.26 17:35
사회
교사 확진에 부산시교육청 해당 고교 폐쇄···접촉 교직원 69명 자가격리... 한 고등학교 교사가 코로나19 확진자로 확인돼 해당 학교가 폐쇄조치됐다. 부산시교육청은 26일 해당학교를 폐쇄하고 소독을 실시하는 한편 이 교사와 접촉한 교직원들을 자율 격리했다. 이 교사는...
#코로나19
엔데믹 시작
권기정 기자 2020.02.26 17:35
지역 부산시
[부산시]부산시교육청 한 지붕 두 노조 13년만에 통합..., ‘내유외강의 힘 있는 강한 노조’, ‘지역사회에 사랑을 전하는 노조’를 구호로 내세웠다. 부산시교육청 공무원노조는 2006년 3월에 설립됐으며 2014년 12월 부산시교육청사서노조와 통합한 뒤 2017년...
#부산시교육청 #편경천
권기정 기자 2019.10.08 16:07
사회
부산 사립유치원 집단휴업 않기로···부산시교육청 강경대응책 발표 후 입장 선회... 100여명은 24일 부산 서면에서 긴급 임시총회를 열고 다음주 집단휴업을 결정하려 했다. 그러나 부산시교육청의 강경대응 방침 발표 이후 집단휴업을 철회했다고 부산시교육청은 밝혔다. 한때 압도적...
#사립유치원 #집단휴업
한유총 사태
권기정 기자 2018.10.24 18:38
지역 부산시
[부산시]부산시교육청 청렴도 3년 새 전국 꼴찌서 1위로···비결은?..., 학부모·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청렴추진기획단 등이 비결이었다고 부산시교육청은 자평했다. 부산시교육청은 국민권익위원회의 ‘2017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청렴도 #부산시교육청
권기정 기자 2017.12.06 12:14
스포츠종합
부산시교육청의 운동부 길라잡이, 취지는 좋지만 실효성 의문부산시교육청이 관내 학교 운동부 지도자 비리가 두 차례 적발되면 팀 해체를 추진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비리를 저지른 지도자와 학교를 엄벌에 처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지도자 비리로 인해 팀까지 해체할 경우 발생하게 되는 선의의 피해 학생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부산시교육청은 학교 운동부 비리를 뿌리 뽑고자 고강도 운영지침인 ‘학교운동부 운영을 위한 길라잡이’를 마련했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부산지역 학교 운동부에서 감독채용 부정 등 지도자 비리가 발생하면 즉시 감독계약을 해지하고 팀에 대해선 1차 경고를 한 뒤 같은 일이 반복돼 2차 경고를 받으면 팀을 해체하기로 했다. 그러나 팀이 해체될 경우 선의의 학생 다수는 졸지에 팀을 잃고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가야 한다. 설사 학교를 옮겨도 그곳에서 새로운 동료들과 손발을 맞추고 다시 주전경쟁을 하면서 진학 또는 취업을 위한 자격을 갖추기는 어렵다. 부산시교육청 손영욱 장학사는 7일 “학교 운동부 운영과 관련돼 학교 내 세력이 너무 강한 힘을 휘두른다는 민원이 많이 제기되고 있어 길라잡이를 만들었다”며 “선의의 피해자가 생기는 문제는 딜레마다. 이들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방침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야구, 축구 지도자를 채용할 때 채용심사위원을 7명 이상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그 중 절반 이상을 외부위원이 맡도록 했다. 학교장, 동문회, 재력가 학부모 등에 의한 독단적인 지도자 선임을 막아보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외부위원은 학교가 직접 선임해도 되고 교육청에 의뢰해도 된다는 게 손 장학사의 설명이다. 일부 세력의 권력 남용을 막을 수 있는지 의문이 생기는 부분이다. 경기 출전 예고제도 혼란이 예상된다. 선수개인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된 출전선수 명단을 경기에 앞서 학교장에게 승인받은 뒤 학생들에게 공개한다는 게 골자다. 감독에 대한 월권 논란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감독들은 문제 소지를 없애기 위해 잘 하는 선수를 계속 출전시키게 되고 상대적으로 기량이 떨어지는 선수들의 출전 기회은 줄게 마련이다. 대학진학을 위해 일정한 출전시간을 채워야 하는 비주전급 선수들의 어려움은 가중된다. 전체적으로 좋은 취지를 살리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과 향후 대책은 부족한 상태다. 손 장학사는 “강제성이 약하기 때문에 지침, 방침이라는 단어 대신 길라잡이라는 용어를 썼다”며 “앞으로 3년 동안 수정 보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문화체육관광부가 체육특기자 입학 비리 근절책으로 지도자의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 비리 대학의 주요 대회 출전 정지 및 입학정원 축소를 천명했지만 운동부 해체는 없었다. 부산지역 초·중·고에서는 축구, 야구, 탁구, 태권도, 배드민턴, 사격, 양궁 등 10여 개 종목에 308개(초 87개, 중 124개, 고 97개) 운동부가 운영되고 있다. 이들 운동부에 속한 학생수는 지난해 말 기준 초등 962명, 중학 1292명, 고교 1233명 등 모두 3477명이다.
#이태란
김세훈 기자 2016.04.07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