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총 96 건 검색)
- 금융 취약층 휴대폰 요금, 신용회복위에 ‘채무조정’ 신청하세요
- 2025. 03. 09 21:30경제
- ... A씨는 뇌종양 발병 등 건강 악화로 정상적 경제활동이 어렵게 되자 신용회복위원회에 채무조정을 신청했다. 다행히 금융채무는 조정을 받았지만 통신요금 연체까지 해결하진 못했다. 본인 명의의...
- 통신비 못내 핸드폰 끊겼다면···신용회복위원회 ‘이 제도’ 알아보세요
- 2025. 03. 09 15:45경제
- ... 판매점. 연합뉴스 40대인 A씨는 뇌종양 발병 등 건강 악화로 정상적 경제활동이 어렵게 되자 신용회복위원회에 채무조정을 신청했다. 다행히 금융채무는 조정을 받았지만 통신 요금 연체까지 해결하진...
- 차인표, 신용회복위원회 홍보대사 위촉
- 2023. 02. 01 14:10경제
- ...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열린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이재연 신복위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용회복위원회 제공 신용회복위원회는 1일 배우 차인표(56)를...
- 카카오뱅크, 신용회복위원회에 2억원 기부
- 2022. 09. 28 10:17경제
- ... 제공 카카오뱅크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자 신용회복위원회의 ‘새희망힐링펀드’에 2억원의 기부금을 전달했다고 28일 밝혔다. 허재영 카카오뱅크 금융소비자보호총괄책임자(CCO)와 유송화...
- 카카오뱅크신용회복위원회기부보이스피싱새희망힐링펀드
스포츠경향(총 4 건 검색)
- 신용회복위, 워크아웃신청 금융위기후 첫 10만명 돌파
- 2018. 01. 19 11:30 생활
- 지난해 채무조정을 신청한 사람 수가 8년 만에 처음으로 10만명을 넘겼다. 19일 신용회복위원회 ‘2017년 신용회복지원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채무조정을 신청한 사람은 총 10만3277명으로 전년(9만6319명) 대비 7.2% 증가했다. 연간 채무조정 신청자 수가 10만명을 넘긴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0만1714건)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개인워크아웃 신청자 수는 6.0% 늘어난 7만9231명, 프리워크아웃 신청자는 12.8% 늘어난 1만9279명이었다. 개인워크아웃은 연체 기간이 90일이 넘는 금융 채무 불이행자에게 이자를 모두 감면해 주는 제도며, 프리워크아웃은 연체 기간이 30일이 넘고 90일 미만인 단기 연체 채무자를 대상으로 상환 기간을 연장하고 이자율을 인하해 주는 채무조정제도다.
- 신용회복위원회 가면…‘내 빚 독촉 누가 할 수 있나’ 알수있다
- 2017. 04. 03 17:44 생활
- 이번 달부터 개인 채무자들은 누가 자신에게 빚 독촉을 할 수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지금까지는 처음 대출을 해준 금융회사가 대출채권을 대부업체나 캐피탈사에 넘긴 경우 채무자는 누가 자신의 대출채권을 사 갔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부당한 빚 독촉을 받더라도 대응하기 힘들고, 일부 대부업체는 이미 갚은 돈을 또 갚으라고 요구하는 경우까지 있었다. 한국신용정보원과 신용회복위원회는 지난 1일부터 ‘채권자 변동 조회시스템’을 가동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을 이용해 채무자들은 자신에게 빚을 갚으라고 요구할 권한이 있는 최종 채권 기관과 채권 양도 일자, 양도 사유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채권 소멸시효(5년)가 끝났는지도 알 수 있다. 채무가 얼마나 남아있는지도 알 수 있어 과도한 금액을 갚으라는 요구에 대응하기 쉬워졌다. 채권자 변동 내역은 신용정보원(www.credit4you.or.kr)·신용회복위원회(cyber.ccrs.or.kr)·나이스평가정보(www.credit.co.kr)·코리아크레딧뷰로(www.allcredit.c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윤곽 드러낸 ‘신용회복 프로그램’…“신불자 지원 원금탕감 없다”
- 2008. 01. 04 22:02 생활
- ‘신용불량자 대사면 되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이명박 당선인의 공약인 ‘금융채무 불이행자(신용불량자)를 위한 신용회복 조치’를 빠른 시일 안에 마련하기로 하면서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농민에 대한 부채 탕감보다 파격적인 이번 조치에 대해 논란도 많다. 인수위는 3일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공적자금 등을 투입해 저신용 금융소외자를 구제하기 위한 신용회복 프로그램을 가동키로 했다고 밝혔다. 신용회복 프로그램의 얼개는 정부가 ‘신용회복기금’을 설치해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금융회사 채무를 인수한 후 이자를 일부 또는 전체 감면하고, 이들의 연체기록을 말소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원금은 최장 10년 이상 분할 상환하는 방식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금 탕감은 없다’는 게 인수위의 원칙론이다. ‘신용 사면’ 대상자도 일부 언론에 보도된 720만명에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수혜 대상이 전체 10등급 중 7등급 이하의 저신용등급자 가운데 제3금융권인 대부업계를 이용하는 사람으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들의 수는 대략 330만명. 그중에서도 500만원 이하의 소액 채무를 지고 있는 240만명만이 우선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을 듯하다. 여기에 들어갈 초기 재원도 당초 알려진 10조원에서 1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인수위 경제1분과 강만수 간사는 4일 ‘7000억원 정도를 기반으로 운영할 계획’임을 분명히 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대상자나 재원 규모가 대폭 축소된 것. 그러나 연체기록 삭제 등과 관련해서는 ‘패자에게도 부활의 기회를 줘야 한다’는 차원에서 연체기록도 없애고 창업 등도 적극 돕겠다는 것이 인수위의 입장이다. 하지만 인수위의 이같은 방침에 찬반 양론이 엇갈려 차기 정부가 어느 쪽으로 최종 가닥을 잡을지는 아직 마지수다. 찬성하는 측은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양산된 데에는 외환위기 이후 소비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려던 정책으로 신용카드가 남발된 탓도 크다”며 “공적자금을 투입해서라도 금융소외계층에 갱생의 기회를 주는 일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와 달리 반대하는 측에서는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를 우려하고 있다. 원금탕감이 아닌 이자탕감이라도 채무를 감면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어려운 처지에서도 부채를 갚고 있는 사람과의 형평성 문제도 문제지만 앞으로 소액 이자는 안 갚아도 된다는 반(反)자본주의적 혹은 시장적 폐해가 사회 곳곳으로 번질 염려도 크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또 아주 어려운 사람들에 한해 일부를 감면해 줄 경우 성실납부 채무자에 대해서도 같은 혜택을 줘야 도덕적 해이가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편 한 시중은행에서 대출업무를 담당하는 윤모씨(43)는 “정부가 신용회복 프로그램을 가동한다고 그들이 은행권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그들에 대해서는 대출조건을 더 강화하고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인해 성실 납부자가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 윤씨는 또 “국내 은행은 현재 외국인이 대다수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 정부 시책을 따라갈 리 만무하다”고 말했다. 결국 ‘신용 대사면’은 순전히 국민의 세금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에 따른 국민적 반발도 정부가 풀어야 할 숙제 중 하나다. 〈엄민용기자〉
- 신용회복대책 실적 저조
- 2005. 07. 17 20:01 생활
- 6개월 간 한시적으로 시행 중인 생계형 신용불량자 신용회복대책이 신청대상자들의 신청이 저조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17일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생계형 신용불량자 신용회복 신청 접수를 시작한 결과 지난달까지 영세자영업자 3,900명, 청년층 4,500명 등 모두 8,400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이번 대책에 따라 신용회복을 신청할 수 있는 영세자영업자가 15만3천여명으로 추정한 점을 감안하면 영세자영업자의 경우 전체 신청대상자의 2.5%만 신용회복 절차를 밟고 있는 셈이다. 청년층 신불자도 전체 대상 6만7천여명 가운데 6.7%만 신용회복 신청을 했다. 〈안치용기자〉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