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총 133 건 검색)
- 비정규직 비중 38% ‘역대 2위’···정규직과 임금격차 175만원
- 2024. 10. 22 12:00 경제
- 서울시사회서비스사원 요양보호사 박모씨가 지난 6월18일 노인성 치매를 앓는 송모씨 자택에서 인지 훈련을 하고 있다. 김송이 기자 임금노동자 중 정규직 수가 3년 만에 감소하면서 올해 비정규직 비중이...
- 비정규직노동자정규직임금통계청
- 공시기업, 성별임금격차 ‘2600만원’…공공기관, 성별 근속연수격차 29%
- 2024. 09. 06 11:20 사회
- ... 4.4%포인트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성별 임금격차도 2000만원 수준에서 유지됐다. 지난해 공공기관 여성 1인당 평균임금은 6074만원으로, 남성 1인당...
- 디지털 성범죄, 7년 새 2.5배로 임금격차도 여전…성평등 멀다
- 2024. 09. 05 21:47 사회
- ... 가구의 순자산(2억5000만원) 또한 남성 가구주 가구 순자산(5억원)의 절반이었다. 여전히 성별 임금격차가 벌어져 있는 사실도 통계로 확인된다. 지난해 임금노동자의 시간당 임금은 여성이 1만8502원,...
- 성폭력 7년 사이 33% 증가, 성별임금격차는 ‘여전’
- 2024. 09. 05 16:17 사회
- ... 가구의 순자산(2억5000만원) 또한 남성 가구주 가구 순자산(5억원)의 절반이었다. 여전히 성별 임금격차가 벌어져 있는 사실도 통계로 확인된다. 지난해 임금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은 여성이 1만8502원,...
스포츠경향(총 6 건 검색)
- 대기업 9곳, 협력기업 임금격차 해소에 6조7천억원 지원
- 2021. 12. 16 12:10 생활
- 현대차 등 대기업 9곳이 향후 3년간 협력 중소기업과의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6조7000억원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을 이행한다. 동반성장위원회는 16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동반위의 대기업 위원사인 9대 대기업과 ‘혁신주도형 임금격차 해소 운동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해당 대기업은 삼성전자, 포스코, 현대자동차·기아, CJ제일제당, GS리테일, KT, LG화학, SK하이닉스, 롯데홈쇼핑 등이다. 동반위와 대기업 위원사는 2018년 ‘임금격차 해소 운동 협약’을 체결했고 3년 간 계약 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다시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협약 대기업들은 향후 3년간 동반성장펀드 조성 등 협력기업의 경영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5조1053억원을 출자하는 것을 비롯해 임금 및 복리후생, 스마트공장 구축,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등을 지원한다. 대기업은 또한 위·수탁, 납품, 용역 등의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3원칙은 합리적으로 대금을 산정하고 최대한 이른 시일에 지급하며 상생결제 지급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다. 상생결제는 납품 대금을 협력사까지 지금 보증하는 어음결제 대체 수단으로 현재 대기업과 공공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다. 한편 동반위는 협약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임금격차 해소 및 동반성장 활동이 실천되도록 기술 및 구매 상담의 장을 마련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협력한다. 이날 권기홍 동반위원장은 “이번 협약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대·중소기업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동반성장 생태계를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11
- 롯데百, 혁신주도형 임금격차 해소 협약 체결 내용 무엇
- 2021. 12. 10 18:10 생활
- 롯데백화점과 동반성장위원회가 ‘혁신주도형 임금격차 해소 협약’을 재체결하여 협력 중소 파트너사의 임금 격차 해소와 기술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지난 2018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임금격차 해소 및 동반성장을 위해 체결한 ‘임금격차 해소 협약’이 올해 만료됨에 따라, 10일 협약 기간을 3년 더 연장하는데 재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롯데백화점은 2024년까지 약 2,400억원 규모의 상생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해 ESG 컨설팅 지원, 복리후생 지원, 지속가능경영 지원, 판로개척 지원, 성과공유제 지원, 협력사 임직원 무상직무교육, 동반성장펀드·기금, 조기 대금 지급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속적으로 협력 파트너사와의 상생에 힘쓸 계획이다. 김학수 롯데백화점 CSR팀장은 “이번 재협약을 바탕으로 협력 파트너사와의 동반성장이 단순 협약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길 바란다”며, “롯데백화점과 협력 파트너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11
- 임금격차 갈수록 늘어…OECD 2위 올라, 수치 살펴보니
- 2018. 01. 24 08:31 생활
- 국내 근로자의 임금 격차가 미국을 제외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임금의 3분의 2도 받지 못하는 저임금 근로자 비율도 최상위권에 오른 상황이다. 24일 OECD에 따르면 2016년 상위 10%의 한국 근로자 임금소득은 하위 10%의 4.50배였다. 관련 통계 자료가 있는 OECD 회원 10개국 중 미국(5.05배)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3위인 헝가리는 3.73배로 4배가 채 되지 않았다. 이 자료 수치를 보면 10개국 중 최하위인 뉴질랜드는 상·하위 10%의 임금 격차는 2.86배에 그쳤지만 한국의 상·하위 10% 임금 격차는 2000년 4.04배였으나 매년 확대해 2006년 5.12배까지 치솟았다. 아울러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23.50%로 미국(24.91%)에 이어 비교 가능한 10개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이 비율은 2000년 24.58%에서 16년간 불과 고작 1.08%포인트 개선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 111
- 대졸 vs 고졸 임금격차 여전
- 2011. 08. 05 16:49 생활
- “고졸자, 일은 더하고 돈은 덜 받고….” 대졸이 시간당 1만7000원을 받을 때 고졸은 1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표면적으로는 고졸자 채용 바람이 부는 듯하지만 학력별로 시간당 임금 총액은 여전한 차이를 보인다. 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전국 3만2000개 사업장을 표본 조사한 결과 학력별 시간당 임금 총액은 대학 졸업자가 1만7170원인 데 반해 고졸자는 대졸자의 57.9%인 9944원에 불과하다. 대학원 졸업자는 2만6464원으로 월등히 높았고 전문대 졸업자는 1만1587원, 중졸 이하자는 8005원에 그쳤다. 전문대졸, 고졸, 중졸 이하는 전체 시간당 임금 평균액인 1만2878원을 밑돌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총액도 학벌에 따라 차이가 났다. 대학원 졸업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시간당 임금 총액이 각 2만6727원과 2만5170원으로 별 차이가 나지 않지만, 대졸자는 정규직 1만8052원과 비정규직 1만240원으로 큰 차이가 났다. 하지만 노동 시간은 반대다. 고졸자는 주당 실 근로시간이 44.3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중졸 이하 44.2시간, 전문대졸 43.4시간, 대졸 41.5시간, 대학원졸 38.2시간 순으로 고졸자는 대졸자보다 일은 더하고 돈은 더 훨씬 적게 받는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학력별 임금격차가 큰 변화는 없지만 근래 들어 소폭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학력에 능력, 기술, 숙련도 등이 포함됐을 수도 있지만 학력만으로 임금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주간경향(총 1 건 검색)
- [표지이야기]고등교육 남녀 임금격차 여전(2015. 12. 07 18:31)
- 2015. 12. 07 18:31 사회
- ㆍ한국여성 수입 남성의 65% 수준… 교육 격차가 건강 격차로 이어져 교육은 사회라는 체계를 굴려갈 곳곳의 인원을 선발하고 배치하는 기능을 한다. 미국의 구조기능주의 사회학자 탈콧 파슨스의 이론이다. 선발과 배치 과정에는 자연히 불평등이 따른다. 더 좋은 자리를 잡으려는 경쟁에는 비용이 들어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교육에 일면 불평등을 만들어낼 수도 있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사회는 이를 보완할 대책을 만들어낸다. 만약 대책 수립에 실패하면 사회는 불평등의 비용을 내야 한다. 한국 사회에서 교육이 만들어내는 불평등은 어느 정도일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눈에 보는 교육 2015’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다. 한국이 단골로 하위권을 장식하는 여성 분야는 이번에도 전철을 벗어나지 못했다. 여성이 고등학교 교육을 통해 얻는 이익은 회원국 중에서 한국이 가장 적었다. 구매력 환산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한국 여성은 고등학교를 나와서 얻는 이익이 2만2200 달러에 그쳤다. 반대로 비용은 더 컸다. 3만3000 달러가 비용으로 들어갔다. 교육으로 얻는 이익의 규모도, 이익과 비용의 합산도 모두 꼴찌였다. 다행히 대학교육을 받으면 들인 비용 이상은 회수할 수 있었다. 비용은 5만5400 달러, 이익은 11만7000 달러다. 대학을 나오면 이익에서 비용을 제한 6만1600 달러를 더 벌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익의 규모는 끝에서 두 번째, 비용을 제한 순이익은 꼴찌다. OECD 평균인 14만5200 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여대생 일자리 박람회에 참석한 대학생들이 취업 가능성을 점쳐주는 부스 앞에서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 박민규 기자 공적 비용이 공적 이득보다 높아 그래도 여성에게 교육을 시키면 공적인 차원에서는 이득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보고서는 기대를 무참히 짓밟는다. 한국 여성의 고교와 대학 교육에 들어가는 공적 비용은 각각 3만2100 달러, 2만8500 달러다. 반면 고교·대학 교육을 통해 공적으로 생기는 이익은 각각 2만1800 달러, 1만3600 달러에 불과하다. 적자폭만큼이 사회 전체의 비용이다. 불평등의 대가인 셈이다. 한국뿐 아니라 선진국들도 공적영역에서는 적자가 나오는 나라들도 많다. 그러나 대부분 투입하는 액수가 크기 때문이다. 여성의 대학교육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의 액수가 한국보다 적은 나라는 7곳뿐이다. 그 결과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은 35~44세 연령대의 여성이 벌어들이는 수입을 같은 연령대 남성과 비교하면 남성의 65%에 그치고 만다. 한국보다 고등교육 인력에 대한 남녀 임금 격차가 심한 나라는 헝가리와 이스라엘, 에스토니아와 슬로바키아 네 나라뿐이다. OECD 평균 74%, 최상위 그룹 국가들의 87%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성별 격차만이 아니라 교육수준이 낮은 개인이 경험해야 하는 격차도 만만찮다. 학력이 낮을수록 건강이 나빠질 확률이 세 번째로 높은 곳이 한국이다. 중졸 이하 학력자가 자신의 건강이 양호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고졸 이하에 비해 9.5%포인트 낮았고, 고졸 이하는 대재 이하에 비해 7.6%포인트 낮았다. 보고서는 “교육 격차에 따르는 불평등이 클수록 교육의 순기능도 저하될 소지가 있다”며 “여전히 남아 있는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과 정부, 사회 전체의 일관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표지 이야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