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옵션
닫기
범위
전체
제목
본문
기자명
연재명
이슈명
태그
기간
전체
최근 1일
최근 1주
최근 1개월
최근 1년
직접입력
~
정렬
정확도순
최신순
오래된순

경향신문(총 26 건 검색)

조각가 권진규 알린 동생 권경숙 여사 별세···‘필즈상’ 허준이 조모상
조각가 권진규 알린 동생 권경숙 여사 별세···‘필즈상’ 허준이 조모상
2024. 06. 17 21:35문화
... 마련되기도 했다. 2022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수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고등과학원 석좌교수가 고인의 손자다. 빈소는 서울 중앙대병원 장례식장 8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권진규권경숙허준이
‘동의보감’ 허준이 왕에게 올린 약차를 즐겨볼까
‘동의보감’ 허준이 왕에게 올린 약차를 즐겨볼까
2024. 04. 02 14:03문화
... 넣어 끓여낸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선조 40년(1607년) 내의원의 의관이었던 허준이 선조의 치료를 위해 직접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 ‘경복궁 생과방’ 참여 예매는 3일과 30일 오후...
경복궁생과방허준사미다음궁능유적본부
‘필즈상’ 허준이 교수 이름 딴 수학난제연구소 개소
‘필즈상’ 허준이 교수 이름 딴 수학난제연구소 개소
2023. 07. 19 20:54인물
...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는 지난해 한국계 학자 최초로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 겸직)의 이름을 따 문을 열었다.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는 기존...
‘필즈상’ 허준이 교수 이름 딴 수학난제연구소 문 열었다
‘필즈상’ 허준이 교수 이름 딴 수학난제연구소 문 열었다
2023. 07. 19 15:34과학·환경
... 가운데 서울 동대문구 수림문화재단에서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는 지난해 한국계 학자 최초로 필즈상을 받은 허 프린스턴대 교수 겸 고등과학원...

레이디경향(총 1 건 검색)

허준이 교수는 어떻게 ‘필즈상’ 받았나
허준이 교수는 어떻게 ‘필즈상’ 받았나
2022. 07. 11 09:56 육아/교육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겸 고등과학원(KIAS) 석학교수가 8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을 통해 입국해 아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인천공항 | 성동훈 기자 지난 5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한국고등과학원 허준이(39) 교수가 수학계의 가장 권위있는 상인 필즈상을 받았다. 1936년 제정된 필즈상은 세계수학자대회에서 4년마다 수학계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40세 미만의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수학 분야 최고의 상으로 아벨상과 함께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캐나다 수학자 존 찰스 필즈의 유산을 기초로 수여되는 필즈상은 수학자들이 받을 수 있는 가장 영예로운 상으로 꼽힌다. 수학계 일각에서는 수상자가 4년에 한 번 발표된다는 점과 40세를 넘으면 수상할 수 없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노벨상보다 더 받기 어려운 상이라는 평가도 있다.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 소식에 각계각층에서 축하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수학 인강 스타강사 차길영은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소식에 진심으로 축하를 전하면서 허준이 교수가 어떤 연구 내용으로 필즈상을 받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유튜브에 공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세븐에듀 제공 허준이 교수는 대수기하학을 이용해 조합론 분야에서 다수의 난제를 해결하고 대수기하학의 새 지평을 연 공로를 인정받아 필즈상을 수상했다. 조합론은 하나, 둘, 셋… 하는 식으로 셀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학적 대상을 다루는 분야로 중·고등학교 수학에 나오는 경우의 수가 이에 속한다. 대수기하학은 곡선, 곡면 등 기하학적 대상들과 대수적 방정식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중·고등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직선,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의 도형의 방정식이 이에 속한다. 허준이 교수는 일찍이 조합론에서 대표적 난제로 알려진 리드 추측 등 11개의 난제를 모두 해결했다. 차길영 강사는 허준이 교수가 해결한 11개의 난제 중에서 리드 추측과 호가 추측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했다. 채색다항식의 계수의 절댓값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는 있지만 감소하다가 증가할 수는 없다는 가설이 리드 추측, 채색다항식의 계수의 절댓값에 로그를 취하면 그 값들의 그래프는 아래로 오목하다는 가설이 호가 추측이다. 차길영 강사는 허준이 교수가 증명한 이 난제들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차길영의 세븐에듀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차길영 강사는 “허준이 교수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분야들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여 수학계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며 한국 수학의 위상을 한껏 드높인 것에 대한 감사함을 전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