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향(총 99 건 검색)

[이기환의 Hi-story](114)영조는 “개가 왜 짖냐”…정조는 잠자리서도 ‘탕탕평평평평탕탕’(2023. 12. 26 07:00)
... 성균관 유생들에게 “만약 당을 섬기는 마음이 있다면 과거장에 들어오지 마라”고 명했다.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1785년(정조 9) 12월 창덕궁 중희당에서 열린 ‘친림 도목정사’(승진·좌천·보직이동...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113) 문화재 ‘죽어도 못 보내’? 이제는 ‘필요하면 보내’!(2023. 12. 20 07:00)
... 해외 전시에도 출품하기 어려운 문화유산으로 정리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국립부여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죽어도 못 보내. 내가 어떻게 널 보내…”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남성 4인조 그룹인...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109)‘빨간펜 정신’으로 살린 ‘적신의 괴수’가 쓴 실록(2023. 11. 21 07:00)
... <중종실록>의 마무리 교정본을 보관했다. 물자를 아끼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박수희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원 제공 ■“당대의 역사를 혼자 쓴다고?” 이식은 그러나 고개를 가로저었습니다....
주간경향>문화/과학 |
[편집실에서]사라져가는 것들(2023. 10. 06 11:07)
... 추석을 보내는 저마다의 사연은 다양하기만 합니다. 도심이 텅 빈다는 이야기도 옛말이 됐습니다. 고궁, 영화관, 공연장, 미술관, 박물관, 식물원, 백화점 등 시내에 인파가 더 몰립니다. 한류 바람을 타고...
주간경향>오피니언 |
[이기환의 Hi-story](101)이순신 장군 ‘큰 칼’은 국보 장검? 쌍룡검?(2023. 09. 15 10:58)
... 근무했던 훈련도감을 거쳐 궁내부박물관(훗날 이왕가박물관)으로 들어갔을 겁니다. 그럼 지금 국립고궁박물관이나 국립중앙박물관, 어디엔가 남아 있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그게 안타깝습니다. 그...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77)50대에 ‘노인 대접’ 요구···무리수 둔 숙종·영조(2023. 03. 31 11:22)
... 펼치고 급기야 왕자인 연잉군 이금(훗날 영조)까지 앞장서자 일사천리로 강행됐다.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영조는 평소 “기로소에 입소하는 것이 일생의 소원”이라고 누누이 강조했다. /...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74)흠결 가득한 달항아리, 국보 즐비한 곳에 왜?(2023. 03. 10 11:13)
...’ 이름은 2000년대 초까지는 학술적이 아니라는 이유로 터부시됐습니다. 그러다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의 개관 첫 전시 제목을 ‘백자 달항아리’ 특별전으로 붙일 만큼 인식이 바뀌었고요....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73)측우기 발명자는 장영실 아닌 문종···일본인도 ‘엄지 척’(2023. 03. 03 11:28)
... 그 원통 안에는 백성을 긍휼히 여기는 세종을 비롯한 조선 임금들의 노심초사가 담겨 있다. / 기상청·국립고궁박물관 제공 1441년 4월 29일 무슨 일이… 이렇게 주먹구구식이었습니다. 앞서 인용한...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72)효명세자는 궁중공연의 총감독이었다(2023. 02. 24 11:16)
... 모든 이가 ‘장효왕(정조)과 흡사하다’고 입을 모았다.”(<순조실록>)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세자가 열여덟 살 때인 1826년(순조 26)에 그린 어진이 남아 있는데요. 불행히도...
주간경향>문화/과학 |
[꼬다리]한 사람의 삶을 안다는 것(2023. 01. 13 11:35)
... 차분한 사람이다. 숲이나 천변, 공원, 고궁 같은 곳을 좋아한다. 가구를 최소화한 ‘미니멀리즘’으로 꾸민 거실엔 잡동사니가 없다. 올해로 스물두 살이다. 취미는 홈베이킹과 자전거...
주간경향>사회 |
이전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위로

정렬

  • 정확도순
  • 최신순
  • 오래된순

기간

  • 전체
  • 최근 1일
  • 최근 1주일
  • 최근 1개월
  • 최근 1년
  • 직접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