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총 107 건 검색)

낙태죄 헌법불합치 ‘입법 공백’ 속 방치된 ‘임신중지 건강권’[플랫](2023. 03. 17 11:31)
... 도입하지 않는 등 여성 건강권을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제공 복지부는 “인공임신중절의 방법으로 수술과 함께 약물 투여를 포함한 모자보건법 정부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는...
경향신문>사회 |
여성의 몸=국가의 몸?···공적 정보·유산유도제 없이는 안전도 없다[임신중지라는 건강권 ②](2023. 03. 10 06:00)
... 도입하지 않는 등 여성 건강권을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제공 복지부는 “인공임신중절의 방법으로 수술과 함께 약물 투여를 포함한 모자보건법 정부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는...
경향신문>사회 |
[국감 2022]‘낙태죄 헌법불합치’에도···인공임신중절 추정치의 90%는 여전히 ‘불법’ 수술(2022. 10. 04 10:45)
...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7~2021년) 인공임신중절 수술 시행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합법적인 인공임신중절 수술은 3056건이었다. 2017년 4161건에서 2018년 3964건, 2019년 3482건, 2020년 3258건 등...
경향신문>사회 |
“임신경험 여성 6명 중 1명은 임신중단 경험" 보사연 실태조사[플랫](2022. 07. 05 10:23)
... 때문에 (증가 요인을 특정해) 말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그래픽 | 이아름 기자 전반적으로 인공임신중절률과 건수는 감소 또는 유지 수준을 보이는 데 대해 연구진은 피임 인지율 및 실천율이 늘고,...
경향신문>사회 |
임신경험 여성 17% ‘임신중단’ 경험, 안전장치는 미흡… “대체입법 서둘러야”(2022. 06. 30 15:58)
경향신문>사회 |
임신 경험 6명 중 1명 임신중단 했는데…안전장치는 미흡(2022. 06. 30 21:57)
... 세 번째 주된 이유로 꼽혔다. 2020년 만 15~44세 여성인구 1000명당 임신중단 건수로 계산한 인공임신중절률은 3.3%였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같은 해 약 3만2063건의 임신중단이 이뤄진 것으로...
경향신문>사회 |
영아 찬물에 빠뜨려 숨지게 한 부부 모두 구속(2022. 04. 27 10:13)
인공임신중절약(낙태약)을 먹고 출산한 아기를 찬물에 빠뜨려 숨지게 한 친모가 구속된 데 이어 친부도 구속됐다. 전북 전주덕진경찰서는 살인 혐의로 ㄱ씨(42)를 구속했다고 27일 밝혔다. ㄱ씨는 아내...
경향신문>사회 |
임신중지 문의하자 "인터넷 검색해보라"는 정부 상담센터[플랫](2022. 04. 13 10:34)
... 구할 수 있는 곳은 없느냐’고 물었다. 기계같은 답변이 돌아왔다.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받은 인공임신중절 의약품이 없어 인공임신중절 의약품의 처방·판매·유통은 불법임.” 대부분은 다른 기관을...
경향신문>사회 |
“수술 하려는데요”…낙태죄 ‘비범죄화’ 결정 3년 후, 상담센터에 물었다(2022. 04. 11 06:00)
... 구할 수 있는 곳은 없느냐’고 물었다. 기계같은 답변이 돌아왔다.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받은 인공임신중절 의약품이 없어 인공임신중절 의약품의 처방·판매·유통은 불법임.” 지난 6일 보건복지부에서...
경향신문>사회 |
각자의 ‘삶의 역사’에 남을 페미니스트 동료 만들기[플랫](2021. 05. 26 09:51)
... 2016년 10월, 한 일간지에 ‘나는_낙태했다’라는 제목으로 글을 실었다. 보건복지부가 ‘불법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의료법 개정을 예고하자 이에 반발한 이들이 서울 보신각 앞에 모여...
경향신문>오피니언 |
이전1 다음
맨위로

정렬

  • 정확도순
  • 최신순
  • 오래된순

기간

  • 전체
  • 최근 1일
  • 최근 1주일
  • 최근 1개월
  • 최근 1년
  • 직접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