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향(총 64 건 검색)

[이기환의 Hi-story](114)영조는 “개가 왜 짖냐”…정조는 잠자리서도 ‘탕탕평평평평탕탕’(2023. 12. 26 07:00)
... 마음이 있다면 과거장에 들어오지 마라”고 명했다.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1785년(정조 9) 12월 창덕궁 중희당에서 열린 ‘친림 도목정사’(승진·좌천·보직이동 등을 결정하는 인사위원회)를 그린...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88)중국 사신 홀리고 무대붕괴 ‘인재’도…500년 전 광화문은(2023. 06. 16 11:48)
... 일어나기 13일 전의 <인종실록>(4월 27일자)에도 광화문 거리 공연 기사가 보입니다. 당시 창덕궁에 거처하던 인종 부부가 중국 사신 접대를 위해 경복궁으로 이어(移御·임금의 거처를...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85)창경궁에 동물원을 세운 이토 히로부미(2023. 05. 26 11:00)
... 옮기도록 합니다. 고종과 순종은 연금된 것이나 다름없었습니다. 순종의 새로운 거처로 낙점된 창덕궁은 수리공사에 들어갔고요. 당시 공사 총책임자가 궁내부 차관인 고미야였습니다. 이때 이완용...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73)측우기 발명자는 장영실 아닌 문종···일본인도 ‘엄지 척’(2023. 03. 03 11:28)
... 소식을 알고 본인도 모르게 엎어지듯 앉으시며…(기뻐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영조는 창덕궁과 경희궁은 물론 8도와 양도 등 각 지방에 측우기를 설치·운용했습니다. 정조(재위...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72)효명세자는 궁중공연의 총감독이었다(2023. 02. 24 11:16)
... 지정된 2점(고려대박물관 소장본·동아대박물관 소장본)이 있습니다. 경복궁의 동쪽 궁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동궐도’(가로 576㎝·세로 273㎝)입니다. 1828~1830년 사이에...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35)궁궐현판, 임금은 더 쓰기 어려웠다(2022. 05. 20 15:42)
.... 그러나 내시가 궁궐 전각의 현판을 썼다는 건 지극히 예외적인 사례였죠. 1725년(영조 1년) 창덕궁 대은원(戴恩院)을 수리한 내역을 새긴 현판. 대은원 수리 공사를 지휘한 것도 내시(지내시부사...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33)어전에서 신하가 방귀 뀐 사실도 기록했다(2022. 05. 06 14:52)
...>를 한번 비교해볼까요. <영조실록> 1738년 1월 21일의 기사를 보겠습니다. “임금이 창덕궁 양정합에 나아가 영의정 이광좌 등을 만났는데, 동궁(사도세자)도 있었다. 임금이 동궁에게 ...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30)“창경궁이 ‘벚꽃놀이 최대명소’ 됐던 사연(2022. 04. 18 13:32)
... 머물던 내지인(일본인)들이 일본 국화(國花)인 사쿠라(벚꽃)를 그리워했다. 이때 창경원, 창덕궁, 경복궁 등에 5~6년 된 사쿠라나무를 내지(일본)에서 갖다가 심은 것이 조선 사쿠라의 시초다.”...
주간경향>문화/과학 |
[이기환의 Hi-story](13)대안문은 왜 대한문으로 바뀌었을까(2021. 12. 10 14:35)
... 제자리에 있지도 않은 월대를 굳이 재현할 필요가 있냐는 소리가 나올 만하죠. 그러나 경복궁이나 창덕궁에서 보듯 ‘월대는 궁궐 정문 구성의 필수요건’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아쉽지만 지금의...
주간경향>문화/과학 |
[우정이야기]한옥 건축의 진수 ‘한국의 궁궐’(2020. 03. 27 15:36)
.... 시리즈 중 첫 작품은 지난 3월 26일 발행한 ‘한국의 궁궐’이다. 경복궁 자경전, 창덕궁 부용정, 창경궁 명정전, 덕수궁 석조전 등 4대 궁궐의 대표적 건축물을 담았다. 기념우표 88만 장과...
주간경향>경제 |
이전1 2 3 4 5 6 7 다음
맨위로

정렬

  • 정확도순
  • 최신순
  • 오래된순

기간

  • 전체
  • 최근 1일
  • 최근 1주일
  • 최근 1개월
  • 최근 1년
  • 직접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