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옵션
닫기
범위
전체
제목
본문
기자명
연재명
이슈명
태그
기간
전체
최근 1일
최근 1주
최근 1개월
최근 1년
직접입력
~
정렬
정확도순
최신순
오래된순

경향신문(총 207 건 검색)

미 백악관, 국방부에 ‘파나마운하 통제’ 군사 옵션 마련 지시
미 백악관, 국방부에 ‘파나마운하 통제’ 군사 옵션 마련 지시
2025. 03. 14 10:37국제
... 발언 파문 후 백악관 군사 옵션 마련 국방부에 지시 미국, 1989년 파나마 무력 침공 전례... 환수 의지를 거듭 밝혀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운하 통제를 위한 군사적인 옵션...
미 국방부, 트랜스젠더 신병모집 중단···트럼프 행정명령 후속조치
미 국방부, 트랜스젠더 신병모집 중단···트럼프 행정명령 후속조치
2025. 02. 11 08:37국제
...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있다. EPA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트랜스젠더의 신병 모집을 중단하는...
NBC “미 국방부, 시리아 미군 전원 철수 계획 마련 중”
NBC “미 국방부, 시리아 미군 전원 철수 계획 마련 중”
2025. 02. 05 21:56국제
... 있다고 미국 NBC 방송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BC는 미 국방부 관계자 두 명을 인용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시리아 내 미군 철수에 관심을 표함에 따라 국방부가 30일, 60일 또는 90일 이내 완전...
미 국방부·국무부, 한국·북한 담당 부차관보에 나란히 한국계 발탁
미 국방부·국무부, 한국·북한 담당 부차관보에 나란히 한국계 발탁
2025. 01. 22 20:41국제
... 한국·일본을 담당하는 국무부와 국방부 국장급 인사에 한국계 미국인이 나란히 발탁됐다. 21일(현지시간) 미 국방부에 따르면 존 노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DAS)가 전날 취임 선서를 하고 업무를...

스포츠경향(총 9 건 검색)

‘Within the Frame’하노이 회담 결렬 6년, 트럼프 재집권 속 북미대화 전망은?···랜들 슈라이버 전 미 국방부 차관보
‘Within the Frame’하노이 회담 결렬 6년, 트럼프 재집권 속 북미대화 전망은?···랜들 슈라이버 전 미 국방부 차관보
2025. 02. 26 21:52 연예
아리랑TV 28일 오후 8시 30분 아리랑TV 뉴스 대담 ‘Within the Frame’에서 ‘하노이 회담 결렬 6년, 트럼프 재집권 속 북미대화 전망’이라는 주제를 놓고 랜들 슈라이버 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담당 차관보(Randall G. Schriver, Former US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Indo-Pacific Security Affairs)와 인터뷰를 한다. 국내외 다양한 이슈를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깊이 있게 살펴보는 아리랑TV뉴스 대담 ‘Within the Frame’이 트럼프 1기 당시 미국 국방부에서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 정책을 총괄해 온 랜들 슈라이버 (Randall G. Schriver) 전 인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와 트럼프 재집권 속 북미대화 향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2019년 2월 열린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소회를 묻자, 랜들 슈라이버 전 미 국방부 차관보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지원 및 제재 완화 등 북한과의 협력에 진지하게 임했다”면서 “협상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마지막 순간까지 해결하려고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6년 전 하노이에서 멈췄던 북미 대화가 재개될수 있을지 묻자, 슈라이버 전 차관보는 “트럼프 대통령은 싱가포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처음 회담을 했을 때부터 항상 관심을 가져왔다”며 “트럼프 1기 때처럼 북한과의 대화를 전제조건 없이 진행할 준비가 되어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참전, 러시아 밀착관계 강화 등의 상황이 자극이 될 수 있다”면서 북미대화 재개 가능성을 전망했다. 아리랑TV 북미 정상회담 재개 시 협상 방식과 방향에 대해 묻자, 슈라이버 전 차관보는“싱가포르, 하노이 회담을 위한 실무자급 협상에서 북한 실무자들은 균형(trade-off)을 맞추고 거래를 할 수 있는 권한이 별로 없었다”면서 “협상의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처음처럼 다시 탑다운 접근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서 “트럼프 행정부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포기하지 않겠지만, 북한의 무기 고도화, 우크라이나 전쟁 등 달라진 국제질서 속에서 핵 문제 이상의 주제를 논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슈라이버 전 차관보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과정과 결과가 북미대화에 미칠 영향에 대해 “러시아에 매우 유리한 합의는 북한에게 북미대화 재개 시 협상 지연의 여지를 주는 것”이라며 우려했다. 북미협상 재개 시 ‘코리아 패싱’ 우려에 대해, 슈라이버 전 차관보는 “트럼프 1기 행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북한과 협상하고 있었음에도 협의는 잘 이뤄지지 않았다, 양방향으로 좋은 소통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과의 긴밀한 협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아리랑TV 한국의 대응 방안을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미 해군에 대한 조선, 선박 유지보수 등과 관련해 한국과의 협력 강화에 대해 언급한 만큼, 이에 대해 고려해야한다”면서 “한국이 확고한 파트너십을 보여준다면 궁극적으로 북한과의 협상을 준비하면서 한국이 원하는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랜들 슈라이버 (Randall G. Schriver) 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에게 듣는 ‘트럼프 재집권 속 북미대화 전망’은 오는 2월 28일 금요일 오후 8시 30분, 아리랑TV를 통해 세계로 방송된다. 아리랑TV
미 국방부, 주한미군 철수설에 “우리는 계속 지원, 협력할 것”
미 국방부, 주한미군 철수설에 “우리는 계속 지원, 협력할 것”
2018. 03. 16 08:21 생활
미 국방부는 15일(현지시간) “워싱턴과 서울 사이에는 틈이 없다. 우리는 그들(한국)을 계속 지원하고 함께 협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이 지난 11일(현지시간) 펜타곤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1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한국과의 무역협상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 철수 카드를 꺼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워싱턴과 서울 사이에는 틈이 없다”며 “한국과의 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견고하다”고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미주리 주에서 열린 모금 만찬 행사에서 한 연설에서 한국과의 무역협상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철수 카드를 꺼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서 위와 같이 밝혔다. 데이나 화이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 발언의 진의에 대한 질문에 “초점은 우리와 한국과의 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견고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당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제안 수락에 대해 아직 공식적 반응을 내놓지 않은 가운데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주한미군철수를 주장한 데 대해선 “현재 상황이 외교관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만큼 그들에게 공간을 주는 게 중요하다”고만 했다. 한편 미 합참 케네스 매켄지 중장은 한미연합군사훈련 재개 일정과 관련해 “올림픽, 패럴림픽과 훈련 일정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 것”이라며 “이 훈련은 올림픽이 끝나는 대로 진행될 것이다. 지금 당장 일정표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매우 가까운 미래에 재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 국방부, “사드 배치, 최대한 빨리 이뤄지는 것 보고싶다”
2016. 02. 09 11:24 생활
미국 정부가 8일(현지시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주한미군 배치가 최대한 조속한 시일 내에 이뤄지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또 결정이 되면 1∼2주일 안에 배치가 가능하다고 밝혀 사드 배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이날 피터 쿡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로켓) 발사 도발과 관련해 ”향후 일정을 못박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이러한 조치(사드 배치)가 최대한 빨리 이뤄지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미 양국이 그간 물밑에서 진행해온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논의가 시작됐음을 미국 정부가 공식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쿡 대변인은 ”현재 이러한 우리의 태도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라는) 도전에 대처하는데 적절하다고 확신한다“며 ”사드를 추가하는 것은 우방의 안보 수준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쿡 대변인은 사드의 방어 능력에 대해 ”이는 우리가 가진 다층 미사일방어의 한 부분이 될 것“이라며 ”또 우리의 (방어) 능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설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사드는 우리의 우방인 한국과 역내 다른 우방에 안전장치를 추가하는 것으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협의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공식 협상은 시작되지 않았지만 며칠 안에 시작될 것이며, 이 협의가 신속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사드 배치가 최종 결정되면 이르면 1주일 안에 한국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AFP통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결정이 내려지면 1∼2주일 내에 사드 배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서 쿡 대변인은 ”동북아를 더욱 불안정하게 했다는 점에서 성공했다“며 ”북한이 인공위성이나 일부 우주 장치를 궤도에 올려놓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 국방부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한미 양국이 북한의 전략적 도발을 계기로 주한미군에 사드를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공식 협의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크게 반발했다. 중국은 김장수 주중 한국대사를 급히 불러들여 한미 간 사드 배치 협의 결정에 항의했으며 한국은 이에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북한에 대해서만 운용될 것이라며 중국을 위협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미 국방부 관리 “을지프리덤가디언 한미연합훈련 중단”
2015. 08. 22 05:51 생활
남북한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북한이 전쟁 위협을 가함에 따라, 연례 한미연합훈련이 중단됐다고 미국 국방부 당국자가 21일(현지시간) 밝혔다. 한미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지난 17일 시작해 28일 끝날 예정이었다. 익명을 요구한 미 국방부의 한 당국자는 “미국이 상황을 주시하고 있지만, 아직은 어떤 군사적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한미연합훈련이 언제 재개될지는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이미 포격 도발 하루 전인 지난 1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앞으로 이번 주부터 시작한 을지프리덤가디언 한미연합훈련의 즉각 중단과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구한 바 있다.
111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