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옵션
닫기
범위
전체
제목
본문
기자명
연재명
이슈명
태그
기간
전체
최근 1일
최근 1주
최근 1개월
최근 1년
직접입력
~
정렬
정확도순
최신순
오래된순

경향신문(총 2 건 검색)

OTT·온라인플랫폼 밀어주고…포털뉴스는 대대적 수술 예고
2022. 05. 26 22:29IT
... 디지털 플랫폼 정책 윤곽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들은 지원하고,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은 자율규제를 한다. 포털 뉴스 서비스 등 미디어 플랫폼은 투명성과 신뢰성을 회복할 방안을...
OTT '지원'·온라인플랫폼 '자율규제'·포털뉴스 '대수술'…윤곽 드러낸 디지털 플랫폼 정책
OTT '지원'·온라인플랫폼 '자율규제'·포털뉴스 '대수술'…윤곽 드러낸 디지털 플랫폼 정책
2022. 05. 26 16:26IT
...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들은 지원하고, 온라인플랫폼 사업자들은 자율규제 한다. 포털 뉴스 서비스 등 미디어플랫폼은 투명성과 신뢰성을 회복할 방안을 찾는다.’ 윤석열 정부의 디지털 플랫폼...

스포츠경향(총 18 건 검색)

‘PROJECT 7(프로젝트 7)’, 일본 OTT 플랫폼 아베마(ABEMA), 공개 후 K-POP 장르 랭킹 1위
‘PROJECT 7(프로젝트 7)’, 일본 OTT 플랫폼 아베마(ABEMA), 공개 후 K-POP 장르 랭킹 1위
2024. 10. 25 16:22 연예
‘PROJECT 7’ JTBC ‘PROJECT 7(프로젝트 7)’이 단 1, 2회 만에 각종 글로벌 플랫폼 랭킹에 진입하며 대한민국을 넘어 해외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JTBC ‘PROJECT 7’(프로젝트 7/ 제작 스튜디오 슬램, SLL)은 시청자가 ‘월드 어셈블러’가 되어 첫 투표부터 라운드별로 참가자를 직접 선택, 새로운 팀을 구성하고 그 과정을 통해 자신의 최애 참가자를 성장시켜 나간다는 ‘조립, 강화’의 개념을 도입한 대한민국 최초 신개념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지난 18일 1, 2회 연속 방송된 ‘PROJECT 7(프로젝트7)’에서는 계급장 뗀 ‘제로 세팅’을 거쳐 100명으로 선발된 연습생들이 ‘타이틀 송 달려(Up to you)’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담겼다. S-A-B-C로 랭크가 나뉜 채 ‘프로젝트 빌리지’로 들어가 합숙을 시작한 100명의 연습생들이 서로에 대한 ‘자체 조립 평가’로 팀을 구성한 후 ‘타이틀 송 라이브 퍼포먼스 영상 촬영 미션’에 나서면서 긴장감을 드리웠다. ‘PROJECT 7(프로젝트7)’은 한국과 동시에 송출되고 있는 일본 OTT 플랫폼 아베마(ABEMA)에서 공개 이후 현재까지 K-POP 부문 랭킹 1위라는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PROJECT 7(프로젝트7)’이 단 1, 2회 만에 2024년 하반기 아베마에서 방송된 한국 콘텐츠 가운데 초동 시청수에서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면서 뜨거운 파급력을 입증한 것. 뿐만 아니라 ‘PROJECT 7(프로젝트7)’은 중화권 LINE TV에서 예능 장르 TOP4를 기록하는가 하면, 글로벌 OTT 라쿠텐 비키(Rakuten Viki)에서는 방송 첫 주 시청자 수 기준 미국은 물론 미주, 유럽, 중동, 오세아니아 TOP10에 진입하는 등 불타는 화력을 일으키고 있다. ‘PROJECT 7(프로젝트 7)’은 이미 방송이 되기 전부터 공식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X, 틱톡 등 각종 플랫폼을 통해 선보인 콘텐츠들의 총합계 조회 수가 1억뷰를 돌파하면서 심상찮은 돌풍을 예고했던 상황.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휘몰아치는 ‘PROJECT 7’의 강력한 기세가 초미의 관심을 모은다. ‘PROJECT 7(프로젝트 7)’ 방송 후 각국의 글로벌 어셈블러들은 영어와 일본어로 연습생들을 향한 뜨거운 응원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민국 최초 신개념 아이돌 조립 강화 오디션 JTBC ‘PROJECT 7’은 매주 금요일 저녁 8시 50분 방송된다.
[송석록의 생각 한편] OTT플랫폼의 스포츠 중계권과 콘텐츠 유료화
[송석록의 생각 한편] OTT플랫폼의 스포츠 중계권과 콘텐츠 유료화
2024. 03. 14 06:00 스포츠종합
프로스포츠 인기와 함께 중계권 경쟁이 치열하다. 기존의 방송사와 더불어 뉴미디어의 등장은 스포츠산업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스포츠콘텐츠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플랫폼에 새로운 수익창출의 모델이 되고 있다. OTT는 안정적으로 스포츠 소비자를 플랫폼으로 유도하고 구매를 촉진한다. 자본력을 바탕으로 OTT 스포츠시장은 북미 4대 스포츠인 아이스하키, 농구, 야구, 미식축구와 더불어 축구에도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으며, 일본과 한국은 축구와 야구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 OTT플랫폼의 스포츠시장 참여는 프로스포츠의 성장을 촉진함과 더불어 스포츠 협회의 안정적 운영 및 리그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본격적인 스포츠경기의 유료화로 소비자들의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송석록 교수 ■ OTT의 스포츠 중계권 우리나라에서 프로야구와 프로축구는 최고의 인기스포츠로 자리 잡으며 방송사의 중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지상파 3사인 KBS, MBC, SBS 방송사는 한국야구위원회(KBO)와 2026년까지 3년간 1620억원에 중계권 계약을 체결했다. 여기에 더해 뉴미디어인 OTT 플랫폼의 가세로 스포츠중계권 시장의 규모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KBO는 티빙과 KBO리그 유무선 중계권을 확보하기 위해 2026년까지 3년간 연 450억원씩 총 1350억원 규모로 계약을 했고 그 이전에 네이버, SK텔레콤, 아프리카 TV 등 포털·통신 컨소시엄과 2019년에 5년간 1100억원에 계약이 체결된 바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쿠팡플레이와 2022~2025년까지 4년 독점 계약을 맺었고 한국프로축구연맹 경영공시를 보면, 전반적인 지상파와 뉴미디어 등의 중계권 수익이 2023년 약 136억원으로 2022년 약 113억원에 비하여 20.4%가 증가했다. 쿠팡플레이는 스포츠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했으며 국가대표팀 경기나 K리그 경기를 중계한다. 유료화를 통한 티빙이나 쿠팡 등의 OTT플랫폼의 강세는 지속될 것이다. ■ 해외의 OTT플랫폼과 스포츠 시장의 성장 아시아 국가 중에 일본은 파격적인 규모의 중계권료 계약으로 유명하다. 영국 기업 퍼폼의 OTT인 다즌(DAZN)은 일본프로축구 J리그의 중계권을 확보했다. J리그는 2017년 10년 간 2조 1000억원이 넘는 디지털 중계권 계약을 체결했고, 2023년 두 번째 계약을 통해 2033년으로 연장하면서 중계권 규모도 2조 2000억원으로 증가했다. 미국프로축구 메이저리그사커(MLS)는 애플TV와 3조 3000억원에 달하는 10년 중계권 계약을 체결하고 프로축구를 발전시키고 있다. 천문학적인 몸값을 자랑하는 리오넬 메시가 인터 마이애미에서 뛰는 것도 애플TV가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OTT플랫폼 사업자의 중계권 확보를 통한 스포츠시장 참여는 리그나 협회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성장시키는데 커다란 기여를 한다. 그럼에도 스포츠경기의 유료화로 인한 비용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가된다. OTT플랫폼 사업자와 한국야구위원회, 한국프로축구연맹 등 스포츠 협회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일본 최대 콘텐츠 플랫폼 유-넥스트 CEO 내한…OTT 포럼 참석
일본 최대 콘텐츠 플랫폼 유-넥스트 CEO 내한…OTT 포럼 참석
2023. 11. 14 16:37 연예
코바코 제공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는 오는 16일 열릴 ‘2023 국제 OTT 포럼’에 일본 최대 콘텐츠 플랫폼인 유-넥스트(U-NEXT)의 덴신 츠츠미 대표가 참석해 일본 OTT 시장 현황과 U-NEXT 성공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고 14일 전했다. U-NEXT 사업 확대와 성장을 주도해 온 츠츠미 대표는 U-NEXT 마케팅 이사를 거쳐 대표까지 오른 미디어·마케팅 분야의 전문가다. U-NEXT뿐 아니라 모기업인 USEN-NEXT 그룹의 이사와 일본 통신사인 YU-모바일의 이사직을 겸임하며 미디어·통신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일본 마케팅리서치 전문회사 GEM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온라인 스트리밍 시장 규모는 5천305억엔(한화 약 4조 6천억원)이었으며, 오는 2027년에는 7천487억엔(6조 5천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용자 1인당 이용 서비스는 1.8개로 타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나, 비디오 대여점의 폐점 추세로 향후 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U-NEXT는 월간 활성 이용자(MAU) 기준 일본 최대 OTT로서 높은 이용 일수와 이용 시간을 기록하고 있다. 또 동영상 외에 전자책, 뮤직비디오, 음악 라이브 등도 서비스하고 있으며, 최근 테레비도쿄(TV TOKYO)와 TBS 등을 운영하는 ‘파라비’(Paravi)와의 통합으로 스포츠와 지상파 프로그램 등을 보강했다. ‘2023 국제 OTT 포럼’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주관하는 글로벌 미디어행사다. 넷플릭스, 일본 U-NEXT, 영국 다즌(DAZN), 프랑스 카날플뤼(Canal+), 홍콩 뷰(Viu) 등 글로벌 OTT 사업자가 참여해 국내외 미디어 사업자 간 협력과 네트워크를 다질 예정이다.
‘밤이 되었습니다’ 글로벌 OTT 플랫폼 Rakuten Viki 통해 180여 개국 찾아간다
‘밤이 되었습니다’ 글로벌 OTT 플랫폼 Rakuten Viki 통해 180여 개국 찾아간다
2023. 11. 07 04:10 연예
U+모바일tv U+모바일tv 오리지널 드라마 ‘밤이 되었습니다’가 12월 4일 런칭을 확정하며 1차 티저 포스터를 공개했다.(기획: STUDIO X+U | 제작: 이오콘텐츠그룹, STUDIO X+U, 이오엔터테인먼트 | 연출: 임대웅 | 출연: 이재인, 김우석, 최예빈, 차우민, 안지호, 정소리) U+모바일tv 오리지널 ‘밤이 되었습니다’는 종료가 불가능한 의문의 마피아 게임에 강제로 참여하게 된 유일고 2학년 3반의 하이틴 미스터리 스릴러다. 저주받은 수련원에 고립된 아이들이 죽음의 마피아 게임을 펼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공개된 포스터는 피로 얼룩진 강렬한 배경과 그 위에 어지럽게 흩어진 휴대폰으로 눈길을 끈다. 붉은 화면 위로 보이는 시민(CITIZEN), 경찰(POLICE), 의사(DOCTOR), 마피아(MAFIA)라는 단어가 마피아 게임을 연상케 하며 호기심을 자극한다. 수많은 휴대폰 사이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밝게 빛나는 ‘마피아’ 문구. 과연 누가 마피아일지 시작부터 궁금증을 유발한다. 또한 ‘지금부터 마피아 게임을 시작합니다’라는 카피와 유리 너머로 비치는 손자국, 발자국이 강제로 목숨 건 게임에 참여한 인물들의 절박한 상황을 보여주며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이처럼 인상 깊은 티저 포스터를 공개한 ‘밤이 되었습니다’는 해외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방송 전부터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 방송 채널과 OTT에서 공개가 확정되었으며, 글로벌 OTT 플랫폼 Rakuten Viki를 통해 미주, 유럽 등 총 180여 개국의 시청자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이렇게 전세계 드라마 팬들과의 만남을 예고한 ‘밤이 되었습니다’가 예측불허 스토리, 반전 있는 전개로 글로벌 시청자들의 취향을 저격하며 K-콘텐츠 열풍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시선 사로잡는 티저 포스터를 선보이며 해외의 주목을 받은 ‘밤이 되었습니다’는 U+모바일tv를 통해 12월 4일 첫 공개 예정이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