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총 15 건 검색)

조선 해시계 앙부일구 보물 된다(2021. 12. 30 10:24)
.... ‘솥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이다. 1434년(세종 16) 장영실, 이천, 이순지 등이 왕명에 따라 처음 만들었다. 조선 초기에 제작된 앙부일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사례가 없다....
경향신문>문화 |
[이기환의 Hi-story] '천재' 세종의 깜짝 용인술…죽을 때까지 탈탈 털린 신하의 재능(2021. 11. 15 06:00)
...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이천·박연·장영실 뿐이 아니라 <칠정산>을 편찬한 이순지와 김담, 간의대와 보루각 조성에 공이 큰 김돈, <농사직설>을 편찬한 정초 등 수많은 문신...
경향신문>문화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한국 28, 중국 5, 일본 0'…백성 위해 '천기누설'한 세종의 성적표(2021. 07. 27 06:00)
... 감탄했단다. 장영실은 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조선의 역법인 <칠정산>을 편찬한 이순지(?~1465), 간의 등 숱한 천문과학기구와 금속활자(갑인자)를 제작 지휘한 이천(1376~1451),...
경향신문>문화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세종시대 ‘올스타’ 총출동해 완성한 ‘활자의 백미’(2021. 07. 13 05:00)
... 수양대군을 비롯한 왕족과, 이천을 중심으로 물시계인 자격루 등을 발명한 장영실(생몰년 미상)과 이순지(?~1465), 집현전 직제학 김돈(1385~1440)과 김빈(?~1455) 등 당대 내로라는 과학자·문신들이...
경향신문>문화 |

주간경향(총 7 건 검색)

[이기환의 Hi-story](9)세종의 용인술, 신하들 재능 탈탈 털었다(2021. 11. 12 12:02)
.... 천재 임금에 천재 신하들 이분들만이 아니죠. 조선의 역법인 <칠정산>을 편찬한 이순지(?~1465)와 김담(1416~1664), 간의대·보루각 조성에 공이 큰 김돈, <농사직설>을 편찬한...
주간경향>문화/과학 |
[우정이야기]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3인(2019. 04. 22 13:39)
... 오른 3인을 소재로 ‘한국의 과학(다섯 번째 묶음)’ 기념우표 3종 총 70만2000장을 발행했다. 이순지(1406~1465)는 <교식추보법(交食推步法)>이라는 책을 남겼다. 일식, 월식을 미리 계산해 내는...
주간경향>경제 |
[구석구석 과학사](36)이슬람과 중국의 천문학을 아우른 (2018. 07. 16 16:31)
... 전해진 이슬람 천문학의 이치를 완전히 깨친 것은 조선 초의 천문학자들이었다. 세종의 명으로 이순지와 김담 등이 펴낸 천문서 <칠정산(七政算)>이 바로 그 결실이다. 칠정산의 내편(內編)은 중국...
주간경향>문화/과학 |
[우정이야기]한국 과학을 빛낸 위인들(2018. 03. 26 17:03)
... 세종시대의 천재 과학자인 이천(1376~1451)도 그 중 한 명이다. 그는 천문 이론을 독자적으로 만든 이순지, 과학기술품의 제작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장영실과 함께 조선 세종시대의 3대 천재 과학자로...
주간경향>경제 |
맨위로

정렬

  • 정확도순
  • 최신순
  • 오래된순

기간

  • 전체
  • 최근 1일
  • 최근 1주일
  • 최근 1개월
  • 최근 1년
  • 직접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