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총 15 건 검색)

조선 해시계 앙부일구 보물 된다(2021. 12. 30 10:24)
.... ‘솥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이다. 1434년(세종 16) 장영실, 이천, 이순지 등이 왕명에 따라 처음 만들었다. 조선 초기에 제작된 앙부일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사례가 없다....
경향신문>문화 |
[이기환의 Hi-story] '천재' 세종의 깜짝 용인술…죽을 때까지 탈탈 털린 신하의 재능(2021. 11. 15 06:00)
...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이천·박연·장영실 뿐이 아니라 <칠정산>을 편찬한 이순지와 김담, 간의대와 보루각 조성에 공이 큰 김돈, <농사직설>을 편찬한 정초 등 수많은 문신...
경향신문>문화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한국 28, 중국 5, 일본 0'…백성 위해 '천기누설'한 세종의 성적표(2021. 07. 27 06:00)
... 감탄했단다. 장영실은 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조선의 역법인 <칠정산>을 편찬한 이순지(?~1465), 간의 등 숱한 천문과학기구와 금속활자(갑인자)를 제작 지휘한 이천(1376~1451),...
경향신문>문화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세종시대 ‘올스타’ 총출동해 완성한 ‘활자의 백미’(2021. 07. 13 05:00)
... 수양대군을 비롯한 왕족과, 이천을 중심으로 물시계인 자격루 등을 발명한 장영실(생몰년 미상)과 이순지(?~1465), 집현전 직제학 김돈(1385~1440)과 김빈(?~1455) 등 당대 내로라는 과학자·문신들이...
경향신문>문화 |
애민정신의 끝판왕 세종의 '천기누설'…"공중해시계를 종로에 내걸라"(2020. 11. 17 09:00)
... 고유의 정밀 시계 발명품이자 독창적인 과학 문화재라 할 수 있다. 앙부일구 등을 만든 과학자들은 이순지(?~1465), 장영실, 이천(1376~1451), 김조(?~1455) 등이다. 환수된 앙부일구에 한양의 북극고도를...
경향신문>문화 |
[여적]남산 개구리(2020. 01. 12 20:45)
.... 그러나 중국의 24절기는 화북지방을 기준으로 했기에 우리와 맞지 않았다. 1444년 세종은 이순지와 김담에게 원나라에서 만든 수시력의 해설서를 편찬토록 했다. ‘칠정산내편’은 수시력을 기초로...
경향신문>오피니언 |
반크, 위대한 한국 과학유산 ‘영문 세계지도’로 알린다(2015. 12. 07 15:35)
... 한글을 창제하고 역법 칠정산을 완성하는 등 15세기 조선의 과학을 발전시킨 세종대왕과 그의 신하 이천·이순지·장영실의 얼굴 그림과 업적을 나열했다. 또 이들 과학자가 만든 천문 관측기구...
경향신문>사회 |
[기고]조선의 천문학자 김담을 아시나요(2015. 10. 21 20:34)
... 사신으로 보내 중국과 아랍의 역법을 연구하게 했다. 김담은 정흠지, 정초, 정인지를 이어 이순지와 함께 1442년에 의 편찬을 마쳤는데, 내편은 중국의 수시력과 대통력을 서울의...
경향신문>오피니언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성소수자는 ‘인류가 아니다’?(2013. 05. 21 09:18)
... 문제삼아 내사를 벌인 사헌부 관리를 파직시켜 버렸다. “간통 현장을 적발한 것도 아닌데 재상집(이순지) 일을 경솔하게 의논·내사하여 임금에게 올린 것은 불가한 일이다. 사헌부 관리를 파직토록 하라...
경향신문>문화 |
[책과 삶]등 굽은 정승·애꾸눈의 화가…고정관념을 깬 장애의 역사(2011. 11. 25 19:07)
... 양성(兩性)의 사방지는 판원사 이순지의 과부딸과 10여년간 통정하다가 마침내 발각된다. 처음에는 이순지가 장(杖) 10여대를 쳐서 내보냈는데, 이순지가 죽자 그 딸이 다시 불러들여 “끝없이 방자하게...
경향신문> |
이전1 2 다음
맨위로

정렬

  • 정확도순
  • 최신순
  • 오래된순

기간

  • 전체
  • 최근 1일
  • 최근 1주일
  • 최근 1개월
  • 최근 1년
  • 직접입력